반응형 프로그래밍176 도전 임베디드 OS 만들기 - qemu, u-boot 설치(Ubuntu 18.04 64bit ver) PC status OS : Ubuntu 18.04 (64bit)ram : 8GBgcc : 7.4.0 ver QEMU 설치 window에서 가상머신인 virtualbox를 이용하는 것 처럼 embedded 개발도 에뮬레이터 라는걸 이용하면 됩니다. EZ보드를 사서 해도 되지만..... 돈도 나가고 또 비쌉니다. 국내에선 구하기 힘들구요. 하여,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qemu라는 녀석을 설치해 보겠습니다. qemu는 최신버전을 사용해도 무방함으로 위와 같은 형식으로 설치해 줍니다. u-boot 설치 ※ 2019년 8월 27일 현재 '도전 임베디드 os 만들기'의 arm-linux-gcc, u-boot, qemu등 소스 파일이 있는 홈페이지가 안들어 가집니다.때문에 제 github에 일단 올려놨습니다. '$ .. 2019. 8. 27. Ubuntu 18.04 버전 인터넷 자꾸 끊길 때 자동 Reset해주는 프로그램.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Ubuntu 18.04 버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공부할 때 원격접속(ssh)를 통해서 리눅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근데 사용하다보면 간혹 인터넷 연결이 끊길 때가 있습니다. LAN선은 잘 물려있는데 말이죠... 즉, 하드웨어적으론 정상인데 소프트웨어 적으로 끊긴다는 뜻입니다. 해결 방법은 '$ reboot' 명령어로 리눅스를 재시작 하거나, '$ sudo service network-manager restart' 명령어를 입력해 줘서 리눅스의 network를 restart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근데 집에서 리눅스를 켜놓고 밖에 나와서 접속하려고 할 때 연결이 위와 같은 현상으로 끊기게 되면 아무것도 못하게 됩니다..... 집에 누군가가 있다면, 전화로 LAN선을 뺏다 꽂으.. 2019. 8. 25. 크로스 컴파일러란? 크로스 컴파일러 설치 방법!! (도전 임베디드 OS 만들기) 크로스 컴파일러란? 다른 플렛폼에서(windows, Mac) 다른 플렛폼의(Android, IOS, Embedded) 실행 파일을 만들어 주는 컴파일러를 가르켜크로스 컴파일러 라고 합니다. 이 무슨 말이냐?? 예를 들어 Android의 .apk파일(어플리캐이션)을 만들고자 할 때 흔히 사용하는 소프트웨어가 있습니다.바로 Android studio 입니다.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킨 후 컴파일하면 실행파일이 만들어 집니다. 이 실행 파일은 windows에서 실행이 불가능 하죠. windows는 .exe파일만 실행 가능하기 때문입니다.하지만 windows에서 스마트폰을 가상으로 띄우거나 직접 스마트폰에 apk파일을 넣은 후 직접 스마트폰으로 실행하면어플리케이션은 실행이 잘 됩니다. 즉, 다른 플렛폼인 wind.. 2019. 8. 22. Linux] tar 정의 및 사용방법 tar이라는 녀석은 Unix, Linux의 명령어 입니다.이녀석의 주 역할은 여러개의 파일을 하나로 묶는 역할을 합니다.(압축이 아닙니다.) 탄생배경은 1979년 AT&T 벨 연구소에서 만들었으며 마그네틱 테이프(자기 테이프)에 파일을 저장하기 위해 만들어 졌습니다.그리고 요즘은 주로 백업, 관리, 배포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때문에 Tape archive의 준말로 tar이 되었으며 tarball이라고도 불립니다. 위 사진은 test.c, test_2.c, test_3.c 파일 3개를 test.tar로 묶은 결과입니다.보시면 test.tar의 크기가 더 커진걸 알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tar로 파일을 묶게되면 각 파일마다 헤더가 붙게 됩니다.각 해더는 512블록으로 이뤄져 있으며 filed offs.. 2019. 8. 18. Embedded] MCU와 SoC의 개념과 차이점은? Embedded System을 공부하다보면 자주 등장하는 용어 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MCU는 작은 단위, SoC는 큰 단위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MCU는 Micro Controller Unit의 약자로 CPU, 메모리, 입출력 제어(I/O), 주변장치 컨트로러를 하나의 칩에 넣은 반도체 입니다. 즉 Chip하나에 거의 모든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죠. 대표적인 사용예로는 아두이노가 있습니다. 위 사진에서 빨간색으로 네모친 부분이 아두이노의 MCU입니다. 아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 칩셋에는 입출력 포트, 전원, GND포트, 송수신 포트 등이 있습니다. 칩셋 하나에 말이죠. 그럼 SoC를 살펴보겠습니다. SoC는 System on Chip의 약자로 하나의 칩으로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다는 뜻입니.. 2019. 8. 8. Embeded] ARM이란? ARM은 (Advanced RISC Machine)의 약자로 CPU 디자인중 하나를 뜻하는 말입니다. 대표적으로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CPU는 요녀석이 들어가게 되는것이죠. CPU종류마다 명령어 세트(instruction set)라는 녀석이 같이 존재하게 됩니다. 이 명령어 세트로 인해서 CPU가 여러가지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죠. 인텔의 CPU 경우엔 x86, x64(AMD64)와 같은 명령어 세트가 들어가게 되고, ARM같은 경우는 RISC가 들어가게 됩니다. RISC는 CISC와 비교가 되는데, 이는 CISC의 단점부분을 보완하여 나온 명령어 세트가 RISC라서 그렇습니다. ARM은 가장큰 특징이 저전력에 고성능이라는 점입니다. CPU는 전력이 높을수록 코어당 쿨럭이 높아집니다. 때문에 고성능.. 2019. 8. 8. C++ for_each문 개념과 사용법 설명 C++에는 기본 문법인 for문이 있습니다. for문으로 모든 반복문을 만들 수 있고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 for문으로 만들기엔 귀찮거나 손이 많이가는 반복문을 만들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종종 존재합니다. 한가지 예시를 들겠습니다.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void print_fnc(int n) { cout 2019. 8. 1. C++ 함수 포인터란? 왜 사용할까? C와 C++에서는 포인터라는 중요한 요소가 존재합니다. 그리고 포인터를 많이 활용하죠. 그 이유는 주소 값을 대입해 해당 위치로 이동하거나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함수 또한 그 주소 값을 갖고 호출이 되면 해당 주소 값으로 이동해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됩니다. 함수 포인터란 함수의 주소 값을 지닐 수 있는 포인터 변수 입니다. 선언 방법은 다음과 같죠. int (*fp1)(); int (*fp2)(int); int (*fp3)(int, int); bool (*fp4)(); void (*fp5)(); 위와 같은 형식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반환 타입은 말 그대로 함수의 반환 타입. 변수 이름은 함수를 저장할 수 있는 변수의 이름 ※앞에 *이 붙었는데 이는 포인터 변수이기 떄문입니다. 설명을 덪붙이자면.. 2019. 7. 20. c++ 함수 객채란?? C++에서는 객체를(클래스) 함수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설명하기에 앞서 연산자 오버라이딩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연산자 오버라이딩1(클릭) 연산자 오버라이딩2(클릭) 이 함수 객체를 왜!!!! 사용하는지 알아보기에 앞서서 우선 예제를 보겠습니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class Plus{ public: Plus(){ num = 0; } int operator()(){ num++; return num; } int operator()(int n){ num = ++n; return num; } friend ostream& operator 2019. 7. 18. C++ inline 함수란? inline 함수는 C++의 실행 속도 개선을 위해 등장 했습니다. C++에서는 기본적으로 클래스 선언을 통한 맴버함수가 많이 이용되는데, 이러한 경우 보통 간단한 기능을 하는 함수들이 많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생성자, getter(), setter(), print() 등 과같은 간단한 함수들 말이죠. 함수들이 간결하여 실행속도에 영향을 끼지지 않을 것 같지만 함수 호출 과정에서 프로그램 속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함수의 호출은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찾아보니 중간에 레지스터에도 값이 저장되는데 어떤 값이 무슨 이유로 저장되는지는 저도 잘 몰라서 일단 제외했습니다. 코드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include int fnc_1(int a, int b){ //매개변수 스택에 저장 return a + b.. 2019. 7. 13. C++ Lambda 사용 이유와 사용 방법 C++에는 lambda라는 문법이 존제합니다. 원래 이 lambda는 boost라는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함수였지만 지금은 modern c++로 넘어가면서 이 기능을 기본적으로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modern c++은 C++ 20 까지 나왔습니다.) 출처 : https://modoocode.com/196 ● [] 캡쳐 블록 (사용시 외부 변수를 캡쳐해 람다 몸통에서 사용 가능) ● () 전달 인자 ● -> 반환 타입 ● {} 함수 몸통 (※Lambda는 기본적으로 캡쳐 블록'[]', 전달인자 '()', return type을 생략할 수 있습니다.) 참...... 어려워 보이고 이런 기능이 왜 있는지 감이 안잡히고... 고통 스럽습니다..... 우선!! 이 lambda 라는 문법이 왜 필요한지 .. 2019. 7. 1. C++ 변수 형 타입 auto C++로 변수를 선언할 때 보통 자료형을 선언해 줍니다. int a = 10; double b = 5.12; char c[] = "hello"; 이런식으로 말이죠. 하지만 요즘 개정된 modern c++이나 boost 를 사용 할 시 다음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바로 auto 이죠. auto 키워드는 따로 자료형을 지정해 주지 않아도 '변수 초기 값'에 따라 자동으로 자료형 타입이 결정됩니다. int main(void) { auto a1 = 10; auto a2 = 5.41; auto s = "hello"; cout 2019. 7. 1. C++로 Restful서버 만들기(casablanca) 2. Server Sample Code 이번엔 GET을 통해 서버로부터 간단한 메시지를 얻어오는 TEST를 해보겠습니다. 우선 아래는 Sample Code 입니다.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using namespace web::http; using namespace web::http::experimental::listener; int main(){ http_listener listener(U("http://localhost:9090")); //Server URL, Port 지정. listener.open().then([&listener](){cout 2019. 5. 28. C++로 Restful서버 만들기(casablanca) 1. 셋팅 및 설치 C++로 카사블랑카(casablanca) SDK를 이용해 Restful 웹 서버를 만들어 볼까 합니다. 우선 개발 환경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OS : Linux(Ubuntu 18.04)개발 툴 : vim컴파일러 : g++(7.4) 우선 라이브러리를 설치해야 하는데, C++의 Restful SDK를 설치해야 합니다. MS에서 현재 제공하고 있는 casablanca를 사용할 것이며, 계속해서 업데이트가 진행되고 있는 MS의 프로젝트 SDK입니다. 현재 github에 올라와 있으며 https://github.com/microsoft/cpprestsdk에서 올라와 있습니다. 설치 방법은 이렇습니다. 우선 git을 설치해야 합니다. ---------------------------------------------.. 2019. 5. 28. C++ 템플릿 클래스 템플릿은 클래스에서도 적용이 가능 합니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template class Calculator{ private: T x, y; public : Calculator(T n1, T n2) : x(n1), y(n2) {} T Adder(){ return x + y; } }; int main(void){ Calculator cal1(10, 20); Calculator cal2(1.5, 20.99999); cout 2019. 5. 17. 이전 1 ··· 7 8 9 10 11 1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