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그래밍/Kubernetes3 Kubernetes Multi Scheduler: 기초부터 실전까지 - Part 1 Kubernetes를 공부하다 보면 "멀티 스케줄러"라는 개념을 접하게 됩니다. 처음에는 "왜 스케줄러가 여러 개 필요하지?"라는 의문이 들었고, 관련 문서를 찾아봐도 이론적인 설명만 가득해서 감이 잘 오지 않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기본 개념부터 차근차근 설명하고, 실제 시나리오와 구현 방법까지 다뤄보겠습니다.1. 기본 개념: 스케줄링이란?스케줄링의 본질스케줄링은 간단하게 말해 "Pod를 어떤 노드에 배치할지 결정하는 과정"입니다.Pod 생성 요청 ↓어느 노드에 배치할까? ← 스케줄러가 결정 ↓Node1, Node2, Node3 중 선택 ↓Pod 실행### 스케줄링 과정 (단계별)Kubernetes 스케줄러는 여러 단계를 거쳐 최적의 노드를 선택합니다.스케줄링은 여러 단계(Extensio.. 2025. 10. 30. AmazonLinux2에 EC2에 쿠버네티스 설치하기. AWS EC2에 Kubernetes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OS는 AmazonLinux2을 사용합니다. (AmazonLinux2023은 Kubernetes Cluster 설치가 안되더군요. 버그인지는 모르겠지만... 8시간 삽질하다가 포기했습니다....) 1. Docker 설치 Kubernetes는 CRI(Container runtime interfaece)가 있어야 컨테이너를 실행시키고 관리할 수 있게 됩니다. 2023년 기준 docker내부에서는 containerd 라는 CRI를 사용하고 있고, docker를 설치하면 containerd를 쿠버네티스가 사용할 수 있게됩니다. 하지만 docker자체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오버헤드를 줄 수 있지만, 여기선 간단하게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 .. 2023. 7. 2. 쿠버네티스 공부 커리큘럼. 도커 공부를 어느정도 한 것 같아서 쿠버네티스에 대해 공부를 하고자 합니다. 불과 몇년 전까지만 해도 쿠버네티스를 사용하는 기업들이 많지 않았던 것 같은데... 2~3년 만에 거의 표준이 되었다 싶이 많은 기업들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대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 쿠버네티스에 대해 공부하는 기록을 남기고자 합니다. 제가 선정한 공부 커리큘럼입니다. 쿠버네티스 소개 및 아키텍처 이해 쿠버네티스의 역사, 목적 및 기능 쿠버네티스 아키텍처 및 구성 요소 (마스터 노드, 워커 노드, etcd 등) 쿠버네티스 오브젝트 및 API 리소스 파드(Pod), 서비스(Service), 레플리카셋(ReplicaSet), 디플로이먼트(Deployment), 스테이트풀셋(StatefulSet) 등 기본 오브젝트 이해 C.. 2023. 4. 23.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