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64

[C언어 풀이] Codility - Lessons 4, (Counting Elements) FrogRiverOne 이 문제는 Codility 사이트에서 확인하고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https://www.codility.com/ 문제 설명 개구리의 위치는 0부터 시작합니다. X값이 개구리가 가려는 지점의 길이 입니다. X값이 5라고 가정한다면...... 개구리 | 강 |도착지점 | | 0 | . . . . . | | | 이런 식으로 되어 있고 개구리가 건너가기 위해선 각 지점마다 나뭇잎이 떨어져야 합니다. 개구리 | 강 |도착지점 | | 0 | 1 2 3 4 5 | | | 강에 떨어지는 낙옆의 순서는 랜덤이고 중복이 될 수 있습니다. 문재의 예시를 풀어 쓰자면 A[0] = 1 2019. 2. 22.
[C언어 풀이] Codility - Lessons 4, (Counting Elements) PermCheck 이 문제는 Codility 사이트에서 확인하고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https://www.codility.com/ 문제 설명 배열의 순열을 찾는 문제 입니다. Codility - Lessons 3, (Time Complexity) PermMissingElem 2019. 2. 22.
[C언어 풀이] Codility - Lessons 3, (Time Complexity) TapeEquilibrium 이 문제는 Codility 사이트에서 확인하고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https://www.codility.com/ 문제 설명 배열앤 -1,000 ~ 1,000사이의 수가 랜덤으로 주어 집니다. 배열의 길이는 N 입니다. P의 값중 가장 작은 값을 반환하면 되는데, P를 구하는 방법은 이렇습니다. A[0] - A[1] + A[2] + A[3] + A[4] = P1. (A[0] + A[1)] - (A[2] + A[3] + A[4]) = P2. (A[0] + A[1] + A[2]) - (A[3] + A[4]) = P3. (A[0] + A[1] + A[2] + A[3]) - A[4] = P4. P값들 중 가장 작은 값을 반환 하면 됩니다. 단, P값은 절대 값으로 반환 존재해야 합니다. 결과 https://.. 2019. 2. 21.
[C언어 풀이] Codility - Lessons 3, (Time Complexity) PermMissingElem 이 문제는 Codility 사이트에서 확인하고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https://www.codility.com/ 문제 설명 N개의 배열이 있습니다. 즉, A[N] 입니다. A[]배열에 있는 구성 요소는 1~N+1 까지 있습니다. 단, A[]배열 안에 요소들은 중복되는 값들이 없고 정수 1개가 누락되어 있습니다. 만약 'A[9]'의 배열이 있다고 한다면 이 배열의 가질 수 있는 최대 숫자는 10이고 각 배열 속엔 1~10의 정수가 중복되지 않고 존재 합니다. 단, 연속되는 숫자 속에서 어느 숫자가 누락됬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1, 2, 3, 4, 5, 6, 7, 8, 9, 10 중에 1이 없을 수 있고, 4이 없을 수 있고, 10이 없을 수 있고....... 누락된 요소를 찾는 알고리즘을.. 2019. 2. 21.
[C언어 풀이] Codility - Lessons 3, (Time Complexity) Frog Jmp 이 문제는 Codility 사이트에서 확인하고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https://www.codility.com/ 문제 설명 해석 하자면, X는 시작위치, Y는 도착위치, D는 1번 점프할때 마다 이동되는 거리. "최소 몇번을 점프해야 Y위치에 도착하는지 구하여라~" 입니다. 저 문제를 예로 들자면 첫 시작위치 X = 10. 도착 위치 Y = 85. 점프시 거리이동 D = 30. 1번 첨프시 : 10 + 30 = 40. (85를 못넘음, 45부족) 2번 점프시 : 40 + 30 = 70. (85를 못넘음, 15부족) 3번 점프시 : 70 + 30 = 100. (85를 넘음, 만족) return 을 '3' 해주면 문제는 해결됩니다. 결과 https://app.codility.com/demo/result.. 2019. 2. 21.
C++상속 관계에서의 생성자 호출 생성자는 객체를 만들게 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코드 입니다. 그럼, 상속관계에서의 생성자 호출은 어떤식으로 진행이 될지? 코드로 설명하겠습니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class A { public: A() { cout 2019. 2. 21.
728x90
반응형

스킨편집 -> html 편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