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64

비잔틴 장군 문제란? 비잔틴란 무엇일까요?? 비잔티움이라고도 불리우며 또는 로마 제국 이라고도 불립니다. 로마 제국은 기원전 287년에 등장한 나라로 중학교 사회시간때 공부했던걸로 기억이 납니다. 로마 제국하면 떠오르는 것이 바로 십자군 입니다. 위 사진이 바로 로마 제국이 전성기때 점령한 땅들입니다. 굉장히 넓으면서 타원식으로 둘러 싸고 있죠. 그럼 비잔틴 장군 문제란 무엇이냐? 로마 제국이 저렇게 떨어져 있다 보니, 전쟁을 할 때 통신할 수 있는 방법이 상당히 제한적이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각 지역의 장군들은 전쟁을 할 때 서신으로 전황을 주고 받았는데, 문제는 장군이 한둘이 아니라는 것에 있습니다. 여러 장군들이 서신을 주고 받고 "몇시에 어디로 집결하자" 같은 내용의 서신이 오가게 되면 문제가 발생합니다. 서신을 주고.. 2019. 4. 8.
2019-04-01 / 금융 서비스 사용자를 노린 밀웨어 '구스터프' 최근 러시아의 한 해커가 구스터프라는 밀웨어를 뿌리고 있다고 합니다. 이 구스타프는 여러 유명 은행 앱들을 사용하는 사람들만이 아니라, 32개의 암호화폐 관련 앱, 수많은 전자상거래 사이트 및 지불 서비스 등의 고객들도 노릴 수 있다고 합니다. 공격 방식은 SMS문자를 통해 전파되고 있다고 합니다. 정확히는 SMS문자에 링크가 걸려있고 이 링크를 통해 해당 밀웨어를 다운받는 형식입니다. 이 경우 검증되지 않는 소프트웨어 이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같은경우 경고나 다운로드가 안되게끔 막아놓지만 많은 사용자들이 구글 스토어 외의 프로그램들을 사용하기에 이러한 경고를 무시하고 다운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통해 구스터프 설치가 완료되면 구스터프를 통해 접근성 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은행 앱들의 문자 필드에 값을 .. 2019. 4. 1.
2019-03-22 / APT공격 대응으로 인한 기업들의 솔루션 사용은 17%의 불과... 지란지교 시큐리티에선 2019-02-20 ~ 2019-02-28까지 공공, 교육, 의료, 일반 기업 등의 보안담당자를 상대로 설문 조사를 했습니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APT공격에 대응해 샌드박스 솔루션을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결과는 17%만 사용을 하고 나머지는 검토중이거나, 사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샌드박스란?? 컴퓨터에서 어떠한 프로그램/코드를 실행할 때 격리된 공간(샌드박스)를 제공하고 그곳을 벗어나 허용되지 않은 작업을 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기술. 이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html에서 실행되는 javascript가 대표적이며 adobe flash도 샌드박스 형태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현재 APT공격 중 가장 취약한 부분이 바로 E-Mail을 통한 공격이라고 생각됩.. 2019. 3. 22.
2019-03-21 / 페이스북 오픈소스 피즈에서 취약점 발견, 피즈란? 지난 달 페이스북 오픈소스인 피즈(Fizz)에 대한 취약점이 발견되었고, 이를 패치했다고 합니다. 피즈란???!?!?!?! 죄송합니다...... 피즈란...... C++14로 만들어진 라이브러리로 모바일 앱과 부하 분산 장치(load balancer), 내부 서비스에 이미 전부 적용되어 있으며, 하루에도 수백만 건씩 발생하는 TLS 1.3 핸드셰이크를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라이브러리에서 발견된 취약점은 Dos 취약점으로 공격자가 악성 메시지를 TCP를 통해 피즈를 사용하는 아무 서버로 전송하게 되면, 서버에서 무한 루프가 발생하게 됩니다. 서버는 루프를 돌리느라 바뻐서 다른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할 수 없게 되는 원리입니다. 이 악성 메시지의 크기는 64Kb 정도로 매우 작습니다. 이 취약.. 2019. 3. 21.
2019-03-20 / 중고나라 피싱 사이트 조심!! 이스트소프트의 이스트시큐리티에서 현재 중고나라의 피싱 사이트가 발견되고 있으니 유저들은 조심하라고 합니다. 피싱사이트는 현재 네이버의 Npay를 유도하는 수법을 가지며 실재 Npay와 똑같은 사이트가 나온다고 합니다. 또한 정보를 입력하면 해커에게 입력한 정보가 그대로 전달되게 되며 계좌 입금 또한 해커의 계좌로 송금이 된다고 합니다. [출처] https://blog.alyac.co.kr/2198?category=957259 [출처] https://blog.alyac.co.kr/2198?category=957259 위 사진들 모드 피싱 사이트 입니다. 정말 네이버 사이트와 똑같이 만들어 낸걸 알 수 있습니다. 사기범들은 Npay를 누르도록 유도를 하며 Npay링크는 카카오톡, 중고나라 사이트 게시물 등에.. 2019. 3. 20.
2019-03-19 / WinRAR버그(CVE-2018-20250) 아직까지 활발히 악용돼... WinRAR의 취약점인 CVE-2018-20250 공격이 이뤄지고 있다고 합니다. WinRAR은 쉐어웨어인 소프트 웨어로 압축 파일을 만들고 압축 파일을 풀 수 있는 소프트웨어 입니다. 이 취약점은 WinRAR 5.70 beta 1 이전 버전에 해당하는 전 버전들에 포함되는 취약점으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WinRAR은 자동 업데이트를 지원하지 않아 사용자가 직접 홈페이지에서 새로운 패치버전을 다운받아야 하는데, 이를 귀찮고 하기 싫어해 그냥 이전 버전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많고, 이를 노린 공격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 공격은 WinRAR로 압축된 파일을 해제할 경우, 서드파티 라이브러리인 UNACEV2.DLL에 존재하는 “경로 조작 공격”으로 윈도우 시작폴더에 악성코드 .exe가 설치가 됩니다. 현.. 2019. 3. 19.
728x90
반응형

스킨편집 -> html 편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