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Namespace3

Linux) Doker와 Container의 탄생과 설명, 차이점 ※이 글은 제가 인터넷으로 공부한걸 바탕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잘못된 내용이나 보충해야할 내용이 있으면 댓글이나 E-mail로 피드백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What is Docker? 도커는 리눅스의 컨테이너라는 기술(LXC)를 이용한 소프트웨어로 지금은 자체 라이브러리인 libcontainer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 말만 들으면 도커가 뭐하는건지, LXC는 뭐고 libcontainer는 뭔지... 감이 안잡힙니다. 흔히 웹 검색으로 알 수 있는 지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도커를 이용하면 개발환경에 구에받지 않고 손쉽게 내가 사용하던 개발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2. 도커를 이용하면 여러개의 독립된 프로세스를 띄워 마이크로서비스가 가능해진다. 3. 도커를 이용하면 배포가 쉽고 수정도 쉽다. 4... 2019. 11. 13.
C++의 namespace의 사용법과 이유(2) using 사용법 앞에서 namespace의 사용법을 설명했습니다. 복습하자면 사용법은 namespace IamA { void printOut() { std::cout 2018. 6. 24.
C++의 namespace의 사용법과 이유(1) C++에는 C에 없는 namespace라는 기능이 존재합니다. namespace라는 기능을 설명하기에 앞서 C++에 특지에 대해 이해하고 넘어갑시다!! C++은 객채지향 언어입니다. C언어는 절차지향 언어이지요. 이 둘을 나눈다면 크게 이렇게 나눌 수 있을겁니다. 그럼 객채지향 언어의 특징은 무엇이냐? 대표적으로 이식성이 좋다는 겁니다. 쉽게 말해서 '어느 잘 만들어진 프로그램' 의 함수와 기능들을 '다른 프로그램에 이용하고 싶을때' 함수충돌, 변수충돌 등의 문제들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 이유는 클래스라는 개념과 namespace 덕분에 가능한데 자세한 설명을 나중에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는 그냥 이렇다라고 읽으시고 넘어가시길 바랍니다. 그럼 namespace에 대해 설명하겠습.. 2018. 6. 24.
728x90
반응형

스킨편집 -> html 편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