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니코드1 유니코드와 아스키코드(SBCS, MBCS, WBCS) 원래 코드를 짜면 일반적으로 영문, 숫자를 아스키코드로 컴퓨터는 인식합니다. 따라서 123char c = 65; printf("%c", c); //output : Acs 이런식으로 가능합니다. 이는 아스키코드를 사용해 문자든 숫자든 1바이트로 표현하기 때문인데, 1바이트는 8비트로0 ~ 256까지의 가지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스키코드는 7비트만 사용합니다. 그 이유는 맨 앞의 1비트는 에러검출을 위해 사용하기 때문이죠. 이렇게 말이죠.... 하지만 시대가 발전하면서 다른 여러 나라들(한국, 일본, 중국, 아랍, 인도 등....)도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기 시작했고 그로인해 다른나라의 언어도 표현해야 했습니다. 하지만 1바이트로 문자를 표현하는 것은 자리가 없어서 2바이트로 표현하기로 합니다. .. 2019. 12. 11.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