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 동기와 비동기 블로킹과 논블로킹에 대해서....
요즘 자료도 많아지고 굉장히 개념 자체가 햇갈립니다. 저도 조사하면서 "내가 배운 내용이 맞나?" 싶을 정도로 햇갈리는 내용들이 많아서 이렇게 정리합니다. 3편으로 나눌 생각이고, 동기, 비동기, 블로킹, 논 블로킹, 멀티 프로세스, 멀티 쓰레드, 멀티 플렉싱, select, poll, epoll, IOCP, boost::asio::context 순으로 진행하려고 합니다. 요번 글은 동기, 비동기, 블로킹, 논 블로킹에 대한 내용입니다. 블로킹과 논 블로킹에 대해 예기하기 앞서, 동기와 비동기에 대해 예기해 보겠습니다. 1. 동기와 비동기??동기와 비동기는 굉장히 다양한 곳에서 쓰입니다. 그리고 뜻하는 정의도 조금씩 다르죠. 하지만 근본적으론 같습니다. 프로그래밍 쪽에서의 동기와 비동기의 차이는 "단일 ..
2020. 9. 7.
스킨편집 -> html 편집에서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