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메모리2

CPU와 메모리 사이의 동작 일반적으로 윈도우에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exe) 프로그램은 잘 실행됩니다. 이 프로그램 단위를 컴퓨터 용어로 프로세스(process)라고 합니다. 이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주기억장치인 RAM에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가상메모리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 부분은 여기!에 잘 설명해 놨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그럼 CPU와 RAM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면서 프로그램이 잘 동작하게 됩니다. 여기서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CPU와 RAM 사이를 연결해주는 통로를 버스(BUS)라고 하며, CPU도 ALU, Control Unit, Register Set, Bus interface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CPU는 RAM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어떻게 처리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ALU(Arithm.. 2019. 12. 10.
메모리 구조에 대해서(stack, heap, buffer overflow) 프로그램을 만들고 실행을 하게되면 메모리 라는 곳에 코드들이 올라가 실행되게 됩니다. 사실 메모리는 물리적 메모리(Physical Memory)와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로 나뉘게 됩니다.일반적으로 코드를 실행하면 가상메모리에 적재 됩니다. 물리적 메모리는 RAM이고 가상 메모리는 HDD의 용량에서 가져와 사용하게 됩니다.운영체제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필요한 최소정보만 RAM에 저장을 합니다.그리고 이를 Working set이라고 합니다. 그 후 프로그램을 실행하면서 필요한 데이터 정보를 가상 메모리에서 가져와상황에 맞게 물리적 메모리에 맵핑하고 맵핑을 해제하고이런 작업을 반복하게 됩니다. 이것을 페이징(Paging)기법 이라고 합니다. 가상메모리의 주소 데이터들을 일정한 크기의 블록으.. 2019. 1. 19.
728x90
반응형

스킨편집 -> html 편집에서